지금 캄보디아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라이브 커머스 시대!

통계 수치를 통해 캄보디아에서 페이스북이 얼마 만큼의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 분석하고 , 점점 커져가는 온라인 시장의 중심에 있는 라이브 커머스에 대해 알아봅시다.

지금 캄보디아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라이브 커머스 시대!!

- 캄보디아의 전자상거래. 90%는 페이스북에서 발생.

- 통계로 알아보는 소셜 미디어 시장.

동남아 시장 진출의 핵심 키워드는 "현지 트랜드를 파악하여 유효한 컨텐츠를 생산해내고,해당 국가의 SNS를 공략할 수 있느냐 없느냐로 판가름"


조금 광오할 수는 있지만 지극히 주관적으로 동남아 온라인 시장의 패권은 소셜 미디어가 꽉 잡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소셜 미디어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캄보디아에서 소셜 미디어의 파급효과는 페이스북과 유튜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페이스북에 관하여 알아봅시다.

Social Network Service

S.N.S "


전 세계 21억명의 사용자 수.
세계 최대의 소셜 미디어.
모두 페이스북을 지칭하는 말들이다.
스냅챗(Snapchat) 같은 강력한 경쟁 어플이 등장하며 젊은 세대의 사용률 이탈이 증가하고 2018년에는 개인정보 유출등의 악재에 주가가 24% 폭락하며 그 무시무시하던 성장세가 주춤하지만 인도 차이나 반도에서 페이스북이 갖는 영향력은 오히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통계 수치를 통해 캄보디아 소셜 미디어 시장을 들여다 보고 뒤늦은 소셜 커머스 붐(Social Commerce Boom)이 만들어낸 라이브 커머스에 대해 알아봅시다.

1. 통계로 보는 캄보디아의 페이스북

영국의 소셜 미디어 조사 업체인 "WE ARE SOCIAL"과 아시아 재단(The Asia Foundation)의 보고서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된다.


<2018년 캄보디아 페이스북사용자 조사>

(출처 : We are Social)

  • 2019년 기준으로 캄보디아는
1) 스마트폰 사용율 1인당 1.25개 (복수 사용자 다수)

2) 전체 인구 1636 만명 중 약 1250 만명 이상이 인터넷 사용자이며 1205 만명이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사용자

3) 인터넷 사용자 중 약 840만명 이상이 페이스북 사용자 (인터넷 사용자 중 67% 이상이 페이스북을 사용)

4) 2018년 대비 인터넷 사용자가 56% 증가 했으며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20% 증가.

5) 하루 평균 120분을 페이스북에 시간을 할애

<2019년 캄보디아의 인터넷 접속 사이트 순위>

(출처:Alexa)
휴대폰의 기본 OS인 안드로이드(크롬)와 아이폰(사파리)의 시작 페이지가 구글인것을 감안하고 본다면 유튜브와 페이스북의 접속 빈도가 굉장히 높음.

  • [message]
    • Fact Check
      • 1) 캄보디아가 소셜 미디어에 유난히 특별한 것이 아니라 인도차이나 반도의 국가 어디와 비교를 해도 통계수치의 결과값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낸다. 베트남만 해도 만 15세 - 54세의 현지인 57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인터넷 사용 목적의 80%가 소셜 네트워크 였다.

        2) 전 세계의 페이스북 평균 사용 시간이 20분임을 감안하면 캄보디아의 페이스북 평균 사용 시간 120분은 굉장히 높은 편이다.

        3) 페이스북 사용자의 통계 수치는 절대적 활성 계정이 아닌 휴먼 계정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캄보디아는 인터넷 사용의 과도기를 겪지 않고 바로 3G와 스마트폰을 접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스마트폰이 보급화 된지는 오래되었지만 아직까지 사용법에 미숙함을 보이며 아이러니 하게도 선호하는 휴대폰 1위가 아이폰이면서도 가장 다루기 어려워하는 휴대폰 또한 아이폰이다. 실제로 아이디 생성부터 로그인,어플리케이션 설치등을 휴대폰 매장에서 대행해주고 있다.(휴대폰 구매자 : 무료 / 어플리케이션 설치 서비스 :$5). 따라서 대다수의 캄보디아 사람들은 휴대폰을 변경하거나 아이디를 분실 할 경우 기존 아이디를 찾지 못해 새로 아이디를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료 출처 링크

[We are social Cambodia analisy ##eye##]



2) 캄보디아의 온라인 쇼핑. 왜 페이스북을 통해서만...?


캄보디아의 온라인 쇼핑을 다루기 전에 온라인 시장의 중추를 이루는 오픈마켓(Open Market)의 유무를 짓고 넘어가야 한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캄보디아에 온라인 쇼핑몰은 존재한다. 하지만 한국의 G 마켓/네이버 쇼핑과 같은 온라인 시장의 척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걸출한 오픈마켓 플랫폼이 존재하지 않는다. 해당 서비스를 추구하고자 하는 몇몇 회사는 있었으나 사장되었다고 표현하는게 맞다.

이유는 간단하다.

캄보디아는 구글과 같은 포탈 사이트를 통해 능동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 아직 미숙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선 인터넷 시절부터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여 검색을 통한 정보 수집이 너무나 당연했다. 하지만 캄보디아는 그 과도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을 접했고 어플리케이션을 경험했다.

바로 "페이스북""메신져" 그리고 "유튜브"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동시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특히 페이스북이 활성화 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는 것에 이미 너무나 익숙해져 버렸다. 따라서, 캄보디아는 구매하기로 마음 먹은 제품을 검색을 통해 찾고, 가격을 비교한 후 원하는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SNS에서 우연히 본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그래서 캄보디아의 소셜 커머스는 페이스북에서만 활성화되어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 한, 페이스북을 대신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 역시 없다.

따라서 페이스북이 캄보디아 전자상거래의 중추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3) 소셜 커머스 사업은..?

소셜 커머스는 SNS에 쇼핑몰을 접목시킨 비지니스 모델이며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쿠팡.티몬.위메프 등이 있다. 소셜 커머스의 대표적인 특징은 엄청난 할인율이다. 30%는 기본이고 반값. 심지어 70% 할인율을 선보일 때도 있다. 그렇다면 페이스북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상거래를 온전한 소셜 커머스라고 봐도 무방할까? 

캄보디아의 소셜 커머스는 "반쪽짜리"다.

"확산력"이라는 점에서 소셜 커머스의 장점을 갖추었지만 "경쟁력"면에서 이미 너무 심한 단점을 보여주고 있다.
소셜 커머스의 경쟁력은 단가다. 물건을 올린 판매자는 박리다매. 즉, 싸게 많이 팔아야 한다. 국내의 경우 경쟁이 과열화 되면서 소비자로 부터 더욱 물건을 저렴하게 팔것을 강요받는다. 하지만 그것은 판매자의 "선택"이며 내수 시장의 규모가 큰 한국에서는 이러한 점이 단점일 수는 있으나 치명적이지는 않다. 하지만 캄보디아는 낮은 소비 수준때문에 물건을 저렴하게 팔아야만 한다.이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매년 7%로 경제 성장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소비수준이 낮으며 내수 시장이 한국과 비교 할 수 없을정도로 작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경쟁력인 "단가"가 캄보디아에서는 "필수"이므로 특별하지 않다. 

그러므로, 캄보디아의 소셜 커머스는 "반쪽"이다.


4) 페이스북의 전자상거래. 어떻게 이루어 지고 있나?

Pi-pay, Wing , True-money, Pay&Go 등을 선두로 캄보디아 역시 핀테크(Fin Tech)사업이 꾸준히 발전을 하고 있다. Wing 과 True-money는 송금 회사로 시작했지만 차츰 온라인 결제를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몇몇 온라인 쇼핑몰과 영화관에서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Pi-Pay는 여러 회사와의 제휴를 통해 할인,포인트 등 일정 리워드를 제공한다. 한국이나 중국과는 비교할 수는 없지만 캄보디아 내에서는 분명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Fin-Tech사업은 꾸준히 기술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오픈마켓이 존재하지 않는 캄보디아는 결제 방식이 개입될 수 있는 영역이 한정된다. 왜냐하면 캄보디아에서 발생하는 전자상거래의 90%이상이 페이스북을 통해 발생하는데 결제 방식이 COD(Cash On Delivery)이기 때문이다. 즉,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 한 후 현금으로 직접 결제를 한다.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원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페이스북의 거래방식

1) 판매자가 페이스북의 페이지와 그룹을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게시.

2) 소비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댓글을 달거나 페이스북 메신져를 통해 문의.

3) 해당 물품 배송

4) 결제

5) 소셜 커머스의 늦바람. 그리고 라이브 커머스 시대

앞서 설명했듯, 캄보디아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전자상거래는 페이스북에서 나온다고 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페이스북의 업데이트 방식을 초기부터 뜯어 살펴보면 캄보디아의 소셜 커머스가 어떤 방식으로 성장했는지 알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초기>

초창기의 페이스북은 텍스트 포스트는 1점, 링크가 있으면 2점 이런식으로 점수를 정해놓고 그 게시물에 반응하는 좋아요나 공유 버튼 수를 곱하여 포스팅 점수를 계산한 후에 점수가 높은 게시물을 먼저 노출 시키는 방식이였다.

따라서 판매자는 페이스북 페이지를 개설하고 컨텐츠를 업데이트 한 뒤 홍보를 통하여 좋아요를 유도한다면 그것이 자산으로 남아 향 후 게시하는 모든 게시물의 "도달율"이 안정적으로 확보가 되었다.

즉, 이때의 캄보디아는 페이지 이름은 쇼핑몰인데 엽기적이고 선정적인 컨텐츠를 올려 좋아요 수를 확보 한 후 간헐적으로 판매하는 물건을 올리는 형태였다.

<중기>

포스트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이 아니라 개인의 성향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변환된다. 만일 한 사용자가 뉴스피드의 사진에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으면 점점 그 사용자에게는 컨텐츠를 덜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때부터 캄보디아에서 변화의 바람이 슬슬 불어오기 시작했다. 판매자는 최대한 노출을 많이 해야하는데 업데이트를 한 다른 컨텐츠를 통해 좋아요를 많이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내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도달율"은 페이지의 좋아요와 팔로워 수에 비해 매우 낮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단순히 제품 사진만을 올리던 것에서 포토샾 등을 통해 사진을 보정하고 동영상을 촬영하여 올리기 시작했고, Phnompenh Buy& Sell 과 같은 판매 그룹을 상업적으로 만들면서 무한 공유의 시대를 맞이한다.

<현재>

지금은 너무 많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아무도 정확히 어떤 작동원리인지 알 수 없게 되었다.악용 사례가 많아서 매 해 마케터가 알 수 없는 방식으로 알고리즘을 변경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추측할 수 있는 것은 페이스북이 개인간의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컨텐츠에 더 많은 보상을 준다는 것이다. 즉, 동영상 특히 라이브 영상이 뉴스피드의 위쪽에 위치할 확율이 대단히 높아졌다.

현재의 페이스북이 원하는 결과를 대변하기라도 한듯, 캄보디아는 라이브 커머스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6) 라이브 커머스. 그리고 개인 브랜딩

페이스북의 업데이트 양상에 발 맞춰 알고서 대응을 했든, 아니면 자연스럽게 이런 시장이 형성이 되었든. 지금의 캄보디아는 라이브 커머스 시대다.

라이브 커머스란(Live Commerce)?

판매자가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의 라이브 방송을 통해 물건을 파는 행위다. 옷을 입어보고 , 화장품을 사용하고, 음식을 먹는 장면을 생생한 화면으로 시청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방송 도중 주문을 받고 배송하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다른 시청자들의 구매욕구를 자극시킨다. 판매자는 웃긴 분장을 하기도 하고 이벤트를 하기도 하며 야한 옷을 입으며 시청자의 눈길을 자극한다.

개인 브랜딩(Personal Branding).
그리고 인기 BJ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한 판매(라이브 커머스)가 활성화 됨에 따라 캄보디아의 인기스타들이 본인의 이름을 내걸고 오프라인 매장을 오픈한 후 실시간 방송을 통해 물건을 판매한다. 혹은 우리나라 아프리카TV의 BJ들 처럼 인기있는 스트리머가 매일 방송을 한다.
판매하는 제품은 다양하다. 옷.화장품.가방.음식 심지어 부동산 까지 라이브로 소개하고 판매하고 있다. 화장품의 경우 유명 브랜드도 있지만 대부분 매우 생소한 브랜드이며 원산지가 어디인지,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표기되지 않은 제품을 판매하는 사람이 많다. 해당 제품의 재료를 그냥 구두 설명으로 끝내는 일이 허다하다. 하지만 인기 스트리머(판매자)가 좋다고 추천을 하면 완판되기 일수다. 기본적으로 시청자와 스트리머(판매자)가 서로 신뢰관계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태국에서 수입한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는 BJ)


라이브 방송이라는플랫폼 위에서 스트리머는 시청자의 생각을 "필요?"에서 "필수!"로 바꾼다.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시청자와의 소통은 "필요한 설득"을 충분히 전달하기 때문이다. 

캄보디아에서 "정보"는 주위 사람으로 부터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환경상 "바이럴"이 매우 깊게 자리메김해 있다. 이러한 환경적 특성에 SNS가 만났으니 본격적인 "바이럴 마케팅"이 시작됬고, 라이브 커머스는 물만난 고기라 표현해도 부족함이 없다.

이제 캄보디아 역시 본인의 이름을 걸고 만든 페이스북 페이지와 그룹을 통해 "제품"이전에 "본인"을 브랜딩 한다. 이것이 지금. 캄보디아가 "라이브커머스"의 시대에 놓여져 있다는 반증이다.

회사 홈페이지는 없어도 Facebook page는 기본적으로 구축하자!

"동남아 시장 진출은 현지 트렌드를 파악하여 유효한 컨텐츠를 생산해내고 해당 국가의 SNS를 공략할 수 있느냐 없느냐로 판가름 난다."

라고 앞부분에서 언급한 바 있다. 이 사실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개인적으로 있었던 일화 한가지를 말해보면, 

한 중국업체와의 미팅에서 중국업체 사장이 나에게 페이스북 페이지가 있냐고 물어보며 본인 회사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자랑하듯 보여줬다. 

그리고 질문을 했다.

"우리는 좋아요가 00개 있다. 너넨 몇개가 있느냐

이떄 당시에는 웃으며 넘긴 부분 이였지만 아주 난처했던 상황이였다.
말인 즉슨, 백문이 불여일견. 제품,가치,서비스를 판매하는 이익집단의 사회적 평가는 페이스북 페이지의 "좋아요" 개수가 입증한다. 라는 뜻으로 이해 되었기 때문이다.

캄보디아에는 네이버나 다음같은 포털사이트가 없으며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 역시 없다.
즉,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커뮤니티와 홍보 수단이 페이스북에 집약되어 있다. 홍보 수단이 페이스북에 국한되어 있으니 관리의 수월함과 비용 절감이 되는 부분이 엄청난 강점이다.

캄보디아 온라인 시장의 중심이 페이스북과 유튜브임은 통계 수치가 증명하고 있다. 캄보디아에 처음 진출하시는 모든 분들께서 이점을 유념하시고 SNS를 홍보 매개체로써 적극 활용하시면 좋겠다. 또 한, 여러분께서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제품,서비스 등)를 하나의 컨텐츠로 기획해서 동영상 제작과 더불어 인기 BJ와의 제휴를 통해 캄보디아 시장에 진입을 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훌륭한 제품. 더 나은 서비스. 지금까지 캄보디아에 없었던....!
많은 슬로건을 내밀고 시장에 진입을 하며 한국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조금 더 선진화된 다양한 마케팅을 시도한다. 캄보디아가 우리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진국 인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그들이 어리석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들도 그들이 형성해 놓은 시장이 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그들만의 그라운드에 우리가 등판을 하기 위해서는 더불어 공존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COMMENTS

BLOGGER: 2
  1.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답글삭제
  2. This is a real good and well written article about the best forex Buy GMX EMAIL accountstrading robot to trade the market with. In fact, I think that you should really take a look at this, since I think it'll really help you out when it comes to trading. Thank you for writing this article, I am indeed looking forward to your articles as I've learned a lot from it. Indeed I hope you enjoyed this article and I hope you take what you have learned here Buy GMX EMAIL accountsand use it to make yourself successful in the forex trading market.

    답글삭제

나는 아직 살아있다.

이름

마케팅 용어,4,생존 꿀팁,9,생존 마케팅,9,엑셀,1,역사,6,영어,2,캄보디아,50,캄보디아 비자,3,캄보디아 스타트업,1,Document,8,Market Research,11,Tip,20,Travel,14,Work,6,
ltr
item
생존 전략: 지금 캄보디아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라이브 커머스 시대!
지금 캄보디아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라이브 커머스 시대!
통계 수치를 통해 캄보디아에서 페이스북이 얼마 만큼의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 분석하고 , 점점 커져가는 온라인 시장의 중심에 있는 라이브 커머스에 대해 알아봅시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7aZLBx5ZLbYaQuC6zP6a3xA0wrsLQ_9HLOLnWOrpulXsKDP3qxlebMdIRsjOTNtUvcPe2cN05cQcFl7gKZUs6enF0ooFlWBQmcYhkpqgIpC-mCv1t4LulYnbWl3UaQslZtjgJa33oXdE/s400/social-media-763731_1920.jpg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7aZLBx5ZLbYaQuC6zP6a3xA0wrsLQ_9HLOLnWOrpulXsKDP3qxlebMdIRsjOTNtUvcPe2cN05cQcFl7gKZUs6enF0ooFlWBQmcYhkpqgIpC-mCv1t4LulYnbWl3UaQslZtjgJa33oXdE/s72-c/social-media-763731_1920.jpg
생존 전략
https://survivalbloger.blogspot.com/2019/05/cambodiafacebook.html
https://survivalbloger.blogspot.com/
https://survivalbloger.blogspot.com/
https://survivalbloger.blogspot.com/2019/05/cambodiafacebook.html
true
5555019560993928543
UTF-8
Loaded All Posts Not found any posts VIEW ALL Readmore Reply Cancel reply Delete By Home PAGES POSTS View All RECOMMENDED FOR YOU LABEL ARCHIVE SEARCH ALL POSTS Not found any post match with your request Back Home Sunday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 Sun Mon Tue Wed Thu Fri Sat January February March April May June July August September October November Decembe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just now 1 minute ago $$1$$ minutes ago 1 hour ago $$1$$ hours ago Yesterday $$1$$ days ago $$1$$ weeks ago more than 5 weeks ago Followers Follow THIS PREMIUM CONTENT IS LOCKED STEP 1: Share to a social network STEP 2: Click the link on your social network Copy All Code Select All Code All codes were copied to your clipboard Can not copy the codes / texts, please press [CTRL]+[C] (or CMD+C with Mac) to 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