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TV 시장과 시청률 조사. 캄보디아의 TV 보급률은?
캄보디아에서 TV 광고를 고려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시장 진입의 출사표를 던지기 위해서 혹은 시장에서 내 브랜드의 위치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 홍보 수단으로 다양한 매체를 고려하게 됩니다.
세계적으로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고 스마트폰의 보급이 늘면서 넷플릭스나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의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광고 시장의 점유율이 TV와 온라인으로 양분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
과연 캄보디아의 TV 시장은 어떨까요? 2017년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국가 별 TV 보급률
<출처 : Digital TV Research 2017> |
캄보디아 TV 시장을 알아보기 전에 인접 국가들의 TV 보급률을 알아봤다.
Global Digital TV Research 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캄보디아의 TV 보급률은 238만 4000가구 기준, 67%다. 작년 대비 3.4 % 증가 했다. 자세한 국가 별 수치는 아래 표로 참조하시면 된다.
- [tab]
- 베트남
- 2017년 기준 베트남의 TV 보유가구 수는 2,281만 2,000 가구로 전년 대비 1.1% 증가 하였다.
- 태국
- 2017년 기준 태국의 TV 보유가구 수는 2,362만 9,000 가구로 전년 대비 0.5% 증가 하였다.
- 라오스
- 2017년 기준 라오스의 TV 보유가구 수는 100만 6000 가구로 전년 대비 1% 증가 하였다.
- 미얀마
- 2017년 기준 미얀마의 TV 보유가구 수는 725만 3000 가구로 전년 대비 2.4% 증가 하였다.
매체 별 광고 영향력
온라인 | TV | 라디오 | Other |
30% | 29% | 15% | 26% |
<출처:Open Development Cambodia>
[post_ads]
캄보디아 주요 방송사
지상파 TV
- TVK(Television Kampuchea)
설립연도 : 1966년
캄보디아 국영방송 사업자
위성을 통해 방송 제공 - Bayon TV
설립연도 : 1998년
캄보디아 최대 민영방송 사업자
TV 및 라디오 사업 - CTN
설립연도 : 2003년
Mobitel 산하 방송 사업자
9개 기지국을 보유하며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예능 / 드라마 / 뉴스 등)
케이블 TV
- PPCTV
설립연도 : 1995년
캄보디아 최초 케이블 TV 사업자 - CCTV
설립연도 : 1995년
대만 TCC의 자회사
캄보디아 TV 시청률 리포트
- [message]
- 주의 사항
- 본 자료는 제가 광고 매체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CTN으로 부터 받은 자료를 토대로 만들었습니다.
캄보디아는 우리나라와 달리 시청률을 공식적으로 집계해주는 기관이 없으므로 시청률의 결과가 각 방송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2017년 9월달이 기준이므로 지금과 다를 수 있음을 밝힙니다.
시장 점유율
방송사 | 점유율(%) |
MYTV | 19.7 |
CTN | 19.5 |
TV5 | 13.0 |
Bayon | 9.3 |
Hang Meas | 8.9 |
PNN | 5.7 |
SEA TV | 5.4 |
CTV8 | 2.5 |
CNC | 1.5 |
PPCTV 10 | 1.3 |
Apsara | 1.2 |
BTV | 0.6 |
ETV | 0.6 |
TV3 | 0.6 |
TVK | 0.6 |
TV9 | 0.4 |
PPCTV 1 | 0.4 |
PPCTV 9 | 0.2 |
Others | 8.1 |
[post_ads_2]
광고 도달률(Reach)
방송사
|
광고 도달율(%)
|
MYTV
|
50.6
|
CTN
|
60.4
|
TV5
|
31.1
|
Bayon
|
35.6
|
Hang Meas
|
31.5
|
PNN
|
17.6
|
SEA TV
|
19.6
|
CTV8
|
8.7
|
CNC
|
10.2
|
PPCTV 10
|
2.5
|
Apsara
|
6.8
|
BTV
|
3.1
|
ETV
|
3.5
|
TV3
|
3.8
|
TVK
|
4.4
|
TV9
|
2.9
|
PPCTV 1
|
1.7
|
PPCTV 9
|
0.7
|
Others
|
29.6
|
시청률 (TV Rate)
생존 전략 한마디
TV 광고를 고려하신다면 시청률을 공식적으로 집계하는 기관이 없으므로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일단 여러 방송사에 문의 하여 광고비용과 시청률 리포트를 받으신 후 소셜 미디어를 통해 2차 검증을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2차 검증이란 페이스북을 통해 각 방송사 별 페이지의 영향력 확인과 각 시청률 리포트에서 밝히고 있는 동시간대 1위 프로그램을 유튜브에서 검색한 뒤 조회수를 확인해 보는겁니다.
위 방법은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며 그 밖의 검증 방법이 있으시다면 꼭 검증하세요!
위키피디아의 경우 업체가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내용을 변경 및 수정 할 수 있으므로 100% 신뢰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광고 비용등은 대외비 이므로 내용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