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용어 총 정리
마케팅 기술이 고도화 됨에 따라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들이 계속해서 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무슨 뜻인지는 대충 알겠지만 정확한 정의를 내리기는 애매한 마케팅 용어들로 인해 때때로 의미 전달이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이번 생존 전략 포스팅에서는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그 정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
사서편찬식 모델 lexicographic model
가장 중요한 속성 상에서 가장 높은 신념점수를 차지한 대안을 선택하되, 동점의 대안이 있을 때 그들만을 그 다음으로 중요한 속성 상에서 비교하여 대안을 선택하는 소비자 판단규칙.
사업 포트폴리오 business portfolio
포트폴리오란 본래 증권이나 채권에 대하여 추자한 자산의 목록을 의미하지만, 사업포트폴리오란 기업을 구성하고 있는 전략적 사업단위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때 전략적 사업단위는 분석의 수준에 따라 사업부나 제품범주, 제품계열, 상표가 될 수 있다.
상인중간상 merchant middlemen
자신이 취급하는 제품에 대하여 법적 소유권을 갖는 중간상인으로서 도매상과 소매상을 지칭한다.
사적 상표 private brand
중간상인이 스스로 생산하든 다른 기업으로부터 납품받아 자신의 확인수단을 부여하는 상표로서 오리지널(orginal) 상표로도 불린다.
사회계층 social class
한 사회 내에서 사회적 척도 상에서 유사한 지위를 차지하는 구성원들의 계층적인 집단.
사회 마케팅 social marketing
특정한 사회문제로부터 도출된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적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그것을 공중에게 수용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실행/통제하는 일로서 일반적인 마케팅에서와 유사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한다.
사회적 마케팅 개념 societal marketing concept
현재 잠재고객들이 "원하는 바"가 항상 그들의 장기적인 복지나 사회복지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으며 그들은 현재 욕구충족과 장기적인 소비자 및 사회복지를 동시에 고려한다고 가정하여 마케팅 노력의 초점을 현재 소비자의 욕구충족뿐 아니라 장기적인 소비자 및 사회복지를 제공하도록 사회적으로 책임있는 양식으로 행동하는 데 두는 마케팅 관리이념이다.
사회적 지위차원
한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결정짓는 차원으로서 생득적 차원과 성취적 차원으로 구분되며 각 차원의 가중치는 그 사회의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
사회지향적 마케팅 societal marketing
사회적 마케팅 개념 하에서 사회적 책임을 마케팅 목표의 일부로 인식하고 실시되는 제반 마케팅 활동.
산업고객 industrial customer
산업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고객들로서 다른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산출하기 위하여 산업용품을 구매한다. 대체로 산업체(자기제품 생산자/산업사용자/산업유통업자), 정부조직, 기관으로 대별할 수 있다.
산업마케터 industrial marketer
산업체, 정부조직, 기관 등 산업고객들과 교환관계를 개발하고 유지하려는 산
업용품의 공급자.
산업마케팅 industrial marketing
가계나 최종소비자를 상대역으로 하지 않는 모든 마케팅활동. 산업용품의 제공자(산업마케터)가 산업고객과의 교환이 바람직하고 원할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수행하는 제반활동. 교환과정을 통하여 산업체, 정부조직, 기관 내의 구매 결정자와 구매영향자의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키려는 활동.
산업용품 industrial goods
私用을 위하여 최종소비자가 구매하는 소비용품과는 달리, 다른 제품을 생산 하거나 서비스를 산출하기 위하여 산업고객들이 구매하는 제품으로서 자본투자 품목, 생산자재 및 부품, 소모품과 서비스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산업용품과 소비용품을 구분하는 기준은 구매목적이므로 하나의 제품이 구매목적에 따라 다르게 분류될 수 있다.
산탄식 접근방법 shotgun approach
고객들이 원하는 바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전체 시장에서 극대의 매출액을 추구하는 전략.
상층흡수 가격정책 skimming pricing policy
신제품에 대하여 대규모 촉진활동을 수행하면서 기준가격보다 비교적 높은 초기가격을 구사하는 정책(초기고가정책)으로서 시장에 경쟁자가 나타나기 전에 신제품 개발비를 빨리 회수하기 위해 채택된다.
상표 brand
자신의 제품을 확인하고 다른 경쟁자의 제품과 구별하기 위하여 판매자가 사용하는 단어, 상징, 디자인 또는 이들의 결합. 상표의 구성요소 중에서 소리로 표현될 수 있는 부분을 상표명이라고 하며 그외의 도식적 요소를 상표표지라고 한다.
상표충성 brand loyalty
특정한 상표를 지속적으로 선호하여 반복구매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단순한 외견상의 반복구매 행동뿐 아니라 특정한 상표에 대한 심리적 개입을 포함한다.
상표확장전략 brand extension strategy
이미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기존제품의 상표를 신제품이나 개선된 제품에 활동 함으로써 성공적인 상표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갖고 있는 호의와 상표충성을 그대로 이연시키고 소비자들의 인지도를 높여 신제품 도입을 용이하게 하려는 전략. 대체로 첨가어 + 기존상표 또는 기존상표 + 첨가어의 형태를 가지는데 복합 + 미원이나 남양분유 + S 등의 예가 있다.
상호마케팅 mutual marketing
교환의 당사자 모두가 마케터인 상황
상황요인 situational factors
개인적 특성과 선택대안의 특성으로부터 당연히 도출될 수는 없지만 현재의 행동에 논증가능하고 체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찰의 시간과 장소에 대하여 독특한 모든 요인. 소비자가 당면하는 선택대안의 특성뿐 아니라 개별 소비자의 특성에 대하여 외부적인 모든 영향요인. 상황요인은 대체로 물리적 배경, 사회적 배경, 시간적 측면, 과업의 정의, 선행상태 등을 포함한다.
상황적 징후 situational symptoms
기업이 마케팅 활동을 통하여 성취하고 있는 결과를 나타내 주거나 마케팅 환경의 변화를 암시해 주는 여러 가지 징후.
생산개념 production concept
잠재고객들이 제품의 특성을 면밀하게 평가하기 보다는 단순히 가용하며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가격의 제품이라면 어느 것이든 선호할 것이라고 가정하며 마케팅 노력의 초점을 "대량생산을 통한 가격인하와 유통효율성의 개선"에 두는 마케팅 관리이념이다.
생산지점 가격정책 free-on-board pricing policy
마케터는 고객이 선택한 수송수단에 선적하는 비용만을 부담하고 일단 선적후에는 제품의 법적 소유권과 모든 책임을 고객이 부담하도록 하는 공장인도 가격정책.
서열척도 ordinal scale
대상들이 속성의 내용을 상대적으로 많이 또는 적게 갖고 있는지의 여부에 숫자를 조응시키는 방법으로서 가감승제산이 모두 불가능하다.
선매품 shopping goods
소비자들이 여러 점포를 방문하거나 다양한 제품들의 가격수준, 품질, 스타일, 욕구에 대한 적합성을 비교하여 최선의 선택을 결정하는 제품. 다시 동질적 선매품과 이질적 선매품으로 구분된다.
선일자 현금할인 forward dating cash discounts
계절성이 있는 제품의 마케터가 비수기에 구매하는 고객에게 대하여 제공하는 할인(계절할인)의 특별한 형태로서 대금청구일을 성수기까지 연기하여 현금 할인조항을 함께 적용하는 형태이다. 계절할인과 현금할인의 결합형태.
선택적 구매동기 selective buying motive
구체적인 상표에 대한 구매이유. 마케팅에 있어서 본원적이라는 수식어가 대체로 제품범주를 지칭하는데 반하여 선택적이라는 수식어는 특정한 상표를 지칭한다.
선효과 primacy effect
메시지의 내용구성과 관련하여 먼저 제시된 내용이 많은 영향력을 가질 때 나타나는 현상. 흥미 있는 주제, 친숙한 주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들은 대체로 선효과를 가지므로 장점 -> 단점의 제시가 적합하다.
성장-점유율 행렬 growth -share matrix
보스턴 컨설팅 구룹(BCG)이 전략적 사업단위들의 매력도를 평가하여 범주화 하기 위해 제안한 모델로서 성장전망과 상대적 시장점유율을 양축으로 사용한다.
세분시장 market segment
전체 시장을 내부적으로 유사하고 외부적으로 상이한 하위집단으로 분리하였을 때 도출되는 하위시장.
세분시장 프로파일 segment profile
전체 시장 구성원들의 특성에 관련되는 변수들 중에서 시장세분화의 근거로 선택된 변수들을 세분시장 정의변수라고 하며, 일단 세분화가 이루어진 후 각 세분시장의 특성을 묘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나머지 변수들을 세분 시장 묘사변수라고 한다. 이 때 각 세분시장이 묘사변수들에 걸쳐 보여주는 특징 비교를 세분시장 프로파일이라고 하는데, 표적시장을 선정하거나 그들에게 적합한 마케팅믹스를 개발하는 데 활용된다.
소매 retailing
개인적 소비(私用)를 위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최종 고객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활동이며 매출액의 50% 이상을 소매활동으로부터 실현하는 상인중간상.
소매의 수레바퀴 wheel of retailing
새로운 형태의 소매상이 처음에는 낮은 수준의 서비스와 저마진으로 저가격을 실현함으로써 시장에 등장하지만,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 형태의 소매상과 경쟁하고 고객에게 추가적인 만족을 제공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설비를 개선하고 서비스를 확대해야 하므로 그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잃게 된다. 그러면 다시 적은 서비스와 낮은 가격을 전략적 초점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소매상이 출현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소매의 수레바퀴라고 한다.
소멸 extinction
학습자가 기대하는 보강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반응의 재발확률이 감소하는 현상. 자극에 대하여 학습된 반응이 행하여 짐에도 불구하고 보강이 없을 때 학습된 반응의 재발확률이 감소하는 현상.
소비용품 consumer goods
개인적인 용도(私用)을 위하여 최종 고객에 의해 구매되는 제품.
소비자 사회화 consumer socialization
시장에서 소비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관련되는 기술, 지식, 태도를 소비자가 획득하는 과정으로서 특히 청소년 시절의 사회화 학습이 중요하며, 도구적 훈련과 모방학습을 통하여 수행된다.
소비자 판단규칙 consumer judgment rule
신념점수들을 종합하여 태도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채택한다고 가정되는 모델들로서 신념/평가모델, 확장된 신념/평가모델, 이상점모델, 속성결합모델, 속성분리모델, 사서편찬식모델, 속성제거모델 등이 있다.
소비자 행동 consumer behavior
제품을 탐색, 평가, 획득, 사용 또는 처분할 때 개인이 참여하는 의사결정 과정과 신체적 활동.
소비자 행동모델 consumer behavior model
소비자 행동에 관계되는 변수들을 확인하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본질적으로
상술하여 행동이 형성되고 영향받는 양상을 묘사하기 위한 단순화된 표상.
소총식 접근방법 rifle approach
고객들이 "원하는 바"의 공통점을 물론이고 차이점까지도 고려하여 각 세분시장별로 최적의 마케팅 믹스를 제공하려는 전략.
속성 attribute
소비자가 여러 가지 대상의 특성을 지각하는 측면들로서 기능적 속성과 상징적 속성으로 대별되며 각 속성 상의 구체적인 수준의 결합은 바로 그 대상의 특성으로 지각된다. 물론 물리적 및 화학적 측면들도 경우에 따라서는 상징적 속성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속성결합모델 conjunctive model
제품의 결정적 속성들에 대하여 수용가능한 최소수준을 결정한 후 어느 한 속성에서나마 그러한 수준에 미달하는 대안을 제거하는 소비자 판단규칙.
성분리모델 disjunctive model
제품의 결정적 속성들에 대하여 수용가능한 최소수준을 결정한 다음 어느 한 속성에서라도 그러한 수준 이상인 대안을 선택하는 소비자 판단규칙.
속성제거모델 elimination-by-aspects model
가장 중요한 속성 상에서 수용가능한 최소수준에 미달하는 대안을 제거한 후 다음으로 중요한 속성 상에서 수용가능한 최소수준에 미달하는 대안을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소비자 판단규칙.
손익분기점 break-even point
제품판매로 얻어진 총수익이 고정원가와 변동원가를 포함한 총원가와 일치하는 매출액 또는 매출단위. 손익분기점을 초과하는 매출에서는 순이익이 발생하고 그것에 미달하는 매출에서는 순손실이 발생한다.
송신자 communicator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사람.
송신자 신뢰성 source credibility
원천효과를 야기시키는 근거로서 대체로 송신자의 진실성과 전문성, 사회적 지위, 메시지의 내용과 송신자 사이의 지각된 일치성, 어떤 이유에서든 송신자에 대한 애호성 등을 포함한다.
수동적 학습 passive learning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갖지 않으며 학습제재에 관한 관여도마져 낮아 단순히 반복노출을 통한 정보의 수용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수량할인 quantity discounts
한 번에 대량으로 구매하는 고객이나(비누적적 수량할인) 일정한 기간 동안 거래량이 많았던 고객에게(누적적 수량할인) 제공하는 할인. 이중 누적적 수량 할인은 고객으로 하여금 반복적으로 거래하도록 촉구하므로 애고할인이라고도 한다.
수명주기비용 life cycle cost
제품을 획득하여 사용하고 유지하는 데 소요되는 전체비용으로서 내구재나 산업용품의 고객에게 중요하다.
수송비흡수 가격정책 freight absorption pricing policy
마케터가 고객이 부담해야 할 수송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하는 지역적 가격정책으로서 대체로 고객에게 가장 가까운 경쟁자로부터의 수송비만을 가격에 반영한다.
수시조사 ad hoc res earch
자신의 기업이나 경쟁사의 마케팅 프로그램을 일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조사형태로서 대체로 횡단면적 설계를 이용한다.
수신자 audience
송신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함께 공유하려는 사람(들).
수신자 선택성 audience selectivity
각 매체가 최소한의 낭비로서 표적수신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 정도로서 지역적 선택성과 인구통계적 선택성으로 구분된다. 지역적 선택성은 지역매체에서 강하고 인구통계적 선택성은 잡지에서 강하다.
수요관리 demand management
마케팅관리란 결국 마케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실제수요의 크기, 타이밍, 성격을 바람직한 수요에 맞도록 조정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마케터의 과업을 달리 지칭하는 용어이다.
수요스케줄 demand schedule
일정한 기간 동안 여러 가지 대체적인 가격에서 잠재고객들이 구매하려는 제품의 양으로서 도식하면 수요곡선이 된다.
수요저지광고 demarketing advertising
수요가 공급능력을 초과하는 여건에서 고객의 호의를 유지하기 위한 광고로서 이때의 광고목표는 대체로 효율적인 제품활용 방법을 교육시켜 수요를 줄이거나 기업의 여건을 설득하여 고객의 압력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수용과정 adoption process
개인이 혁신에 관하여 처음으로 알게 된 후 그것을 수용하기까지 거치는 일련의 정신적 단계. 신제품이 시장에 도입된 후 소비자가 보여주는 반응의 계층으로서 인지, 관심, 평가, 시용, 수용 등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다.
수용자 범주
혁신을 처음으로 인지한 후 그것을 수용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상대적인 시간(혁신성향)을 개인별로 측정하여 도출한 범주들로서 혁신성향이 강한 순서는 혁신층(2.5%), 조기수용층(13.5%), 조기다수층(34%) 후기다수층(34%) 후발수용층(16%)이다.
수직적 마케팅 시스템 vertical marketing system
마케팅 경로 상에서 지도자격인 구성원이 형성하는 전문적으로 관리되고 집중적으로 계획된 유통망으로서 경로통합의 근거에 따라 법인형, 관리형, 계약형으로 구분된다.
수평적 마케팅 시스템 horizontal marketing system
새로운 마케팅 기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경로참가자들이 연합하여 공동으로 마케팅 전략을 설계하고 추진하는 형태로서 공생적 마케팅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스워트 분석 SWOT analysis
환경변화가 제공하는 기회와 위협을 인식하고, 특정한 환경기회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경쟁자보다 차별적 우위를 갖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경탐사를 통해 기회(O-pportunities)와 위협(T-threats)를 찾아내고 각각의 성공요건과 자기의 장점
(S-rengths) 및 약점(W-eaknesses)을 비교해야한다. 이때 차별적 우위를 확신할 수 있는 환경기회를 기업기회라고 한다.
스키머 schema
소비자가 어떤 태도대상에 대하여 기억 속에 저장해 갖고 있는 일반화된 지식체계. 다양한 정보단위의 연상과 조합으로 구성되어 이미지나 포지션의 근거가 되는데, 예를 들어 갈증이라는 일반화된 지식체계는 코카콜라, 여름, 심한 운동 등을 포함한다.
슬리퍼 효과 sleeper effect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뢰성이 높은 송신자로부터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감소하는 반면에 신뢰성이 낮은 송신자로부터의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증가하는 현상.
습관적 구매행동 habitual buying behavior
과거경험을 근거로 하여 만족을 보증하고 정보탐색과 상표평가의 필요성을 감소시켜 나타나는 단순화된 의사결정 과정.
시간사용형 제품 time-using goods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예를 들어, TV, 스키, 낚시, 골프, 테니스 등 대체로 여가활동에 관련된 제품들.
시간절약형 제품 time-saving goods
여가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비자유재량의 시간을 감소시켜 주는 제품으로서 식당, 즉석식품, 세탁기, 전기밥솥 등 대체로 노동절약형 제품(labor-saving goods)이다.
시계열적 설계 logitudinal design
조사대상들을 한 변수에 대하여 여러 시점에 걸쳐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조사설계.
시너지즘 synergism
system + energy의 복합어로서 독립적인 각 구성단위가 갖는 효과의 합보다도 전체효과를 크게 하는 구성단위들의 협동적 행동을 의미한다.
시장구조 분석 market structure analysis
제품형태를 근거로 한 포지셔닝 분석. 소비자가 "원하는 바"에 따른 제품형태 대안들(냉동건조 커피, 인스턴트 커피, 탈카페인 커피, 그라운드 로스터 커피)의 포지션을 평가하거나 특정한 제품형태의 시장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된다.
시험마케팅 test marketing
신제품의 대량생산과 시장도입에 앞서서 실제의 시장환경 내에서 잠재고객들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본적으로 실시하는 소규모의 마케팅. 대체로 소비용품의 경우에는 신제품 시용율, 최초구매량, 신제품수용율, 구매빈도 등이 검토되며 산업용품의 경우에는 제품의 성능, 구매센터의 구성, 가격변화에 대한 반응, 잠재시장의 규모, 세분시장별 유망성 등이 검토된다.
시험시장 test market
연령이나 소득 또는 교육수준 등의 특성에서 전체시장과 유사한 분포특성을 갖는 지역(도시)로서 마케터는 이곳에서 시험마케팅을 실시하고 그 결과로부터 전체시장의 반응을 추정한다.
실적점검 조사 performance monitoring research
마케팅 활동을 통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마케팅 성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조사.
실증적 마케팅 positive marketing
현재 실시되고 있는 마케팅 활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려는 접근방법이다.
시장 market
특정한 제품으로서 충족될 수 있는 욕구를 갖고 있으며, 그것을 선택하려는 의도와 구매능력을 갖춘 개인이나 조직의 집합이다. 간혹 수요와 혼용되기도 한다.
시장선호패턴 market preference pattern
개별 소비자들의 "원하는 바"를 반영하는 속성결합들의 패턴으로서 동질적 선호패턴, 확산된 선호패턴, 집군화 선호패턴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시장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전체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잠재고객들을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유사한 하위집단으로 분리하는 과정이다. 이때 사용되는 기준을 시장세분화 변수 또는 시장 세분화 근거라고 하며 시장세분화의 결과로서 도출된 하위집단을 세분시장 또는 하위시장이라고 한다.
시장수명주기 market life cycle
제품수명주기가 시간경과에 따른 제품의 수요변화 패턴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시장수명주기 또는 제품-시장수명주기란 잠재고객들이 희구하는 효익의 수명주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의류구매에 있어서 세탁편의성은 1960년대부터 서서히 강조되어 오다 1980년대 이후에는 유행성이나 자연성에게 그 자리를 내주엇다.
시장조사 market research
특정한 시점에 있어서 시장의 구성과 고객들의 행위특성에 관한 조사로서 여러 가지 요인들의 가변성은 고려하지 않는 정적인 개념이다.
시장침투 가격정책 market penetration pricing policy
도입기에 제품수용도를 높이고 대량생산과 경험효과에 의한 생산원가의 인하를 통하여 경쟁우위를 차지하려는 초기저가정책.
신념 beliefs
어떤 지각대상에 대하여 소비자가 갖고 있는 주관적인 판단으로서 객관적인 사실과는 다를 수 있다. 실제로 소비자는 자신의 신념을 근거로 하여 자극들을 해석하고 평가하기 때문에 신념을 객관적인 사실보다 중요하다.
신념점수 belief score
소비자들이 판단근거로 사용하는 각 결정적 속성에 대한 신념들을 계량적으로 측정한 점수. 각 결정적 속성별로 측정된다.
신념/평가모델 belief/evaluation model
특정한 대상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가 그것이 속성 i에 관련된다는 신념의 정도와 속성 i에 대하여 부여하는 가치의 가중합계로 이루어진다는 견해의 다속성 태도모델.
신뢰성 reliability
측정이 무작위 오차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정도로서 대체로 측정의 변이중에서 비일관성에 기인하는 부분을 검토하여 평가한다.
신제품 new product
표적시장의 잠재고객들이 물리적/화학적 및 상징적 속성 상에서 심지어는 부수서비스 상에서라도 기존제품과 다르거나 새롭다고 지각하는 모든 욕구충족수단.
실제제품 actual product
고객들이 "원하는 바"에 대응하여 제품이 그들에게 제공하려는 효익을 여러가지 속성의 결합으로 전환시킨 실체.
심리세트 psychological set
특정한 시점에서 소비자가 갖고 있는 마음상태로서 여러 가지 제품범주에 관련된 욕구기준과 다양한 대안들에 대한 태도로 구성되어 있다.
심리적 가격정책 psychological pricing policy
특정한 가격이나 가격범위가 다른 가격(범위)에 비하여 고객들에게 심리적 소구력을 많이 갖는다는 관념을 근거로 하여 구사하는 가격정책.
심리적 일관성 psychological consistency
생리적으로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항상성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인간은
태도의 인지적/감정적/행동적 구성요소들이 일관성을 가짐으로써 균형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씨아이 CI
기업의 경영이념과 활동방향을 정립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기업의 존재가치(corporate identity). 따라서 CI 프로그램(CIP)이란 기업이 자신의 존재가치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통일성 있는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형성하려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다.
씨피엠 CPM
수신자 1000명에게 광고물을 노출시키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나타내는 지수 (cost-per-thousand audience method). 예를 들어, 300만원짜리 TV광고물에 1000만명이 노출되었다면 CPM은 300원이다.
아
아이다 모델 AIDA model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보여주는 반응을 주의(attention),관심(interest), 열망(desire),행동(action)으로 범주화한 모델.또한 기억 (memory)을 포함하여 AIDMA 모델도 제안되고 있다.
암흑상자모델 blackbox model
소비자가 자극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처리하여 반응을 보이는 과정에서 마음속의 자극처리공정을 규명하지 못한 채 단순히 자극과 반응 사이의 관계를 가정하는 모델로서 소비자 행동에 대한 초기모델이다.
애고동기 patronage motive
특정한 점포나 기업과 거래하는 이유로서 대체로 가격, 구색, 입지, 명성, 정책, 친분관계, 마케팅 정책 등에 관련된다.
애쉬현상 Asch phenomenon
준거집단의 묵시적인 압력에 의하여 개인의 판단이나 행동이 왜곡되는 현상.
양측검증 two-tailed test
의사결정자의 정보욕구가 모수에 대한 양 방향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통계량 분포곡선의 양 끝부분을 모두 사용하는 통계적 가설검증.
에스티피 STP
마케팅 전략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함축적으로 나타낸 기호로서 시장세분화(Segmentation), 표적시장의 선정(Targeting), 목표포지션의 결정(Positioning)을 의미하며 이 다음에 이어지는 단계는 마케팅 믹스의 개발이다.
에이이 AE
광고주를 위하여 마케팅 조사, 매체선정, 광고물의 제작 등 여러 분야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통합하여 광고계획을 수립하고 관리하는 광고대행사의 담당자.광고주의 유치나 광고주와의 단순한 연락업무를 넘어서 특정한 광고주의 스탭 역할까지도 수행한다.
역할구조 role structure
특정한 가계구매 결정에 있어서 누가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를 묘사하는 개념으로서 자치적 역할구조, 남편지배적 역할구조, 부인지배적 역할구조, 공통적 역할구조의 형태가 있다.
완결의 원리 priciple of closure
자극에 대한 감각결과가 불완전할 때 소비자가 감각결과를 해석하기 위하여 스스로 불완전한 부분을 보완하는 현상으로서 자극에 대한 관여도를 높이고 주의와 학습 및 회상을 증대시킨다.
완전수요 full demand
실제수요와 바람직한 수요의 평균적 크기뿐 아니라 시간적 패턴까지도 일치하는 수요상태이다.
욕구 need
인간이 생리적 및 심리적으로 행복하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조건들이다. 그러한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는 긴장을 야기시키고 그러한 긴장을 해소하려는 행동을 촉발하는 동기를 형성한다.
욕구기준 need criteria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정한 제품범주로부터 희구하는 효익의 다발 또는 특정한 제품범주 내에서 한 대안을 다른 대안들보다 우월하다고 판단하는 데 이용하는 기준들.
욕구의 동기화 motivation
기본적인 욕구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동기로 전환되는 과정.
욕구구조 need structure
특정한 제품구매에 있어서 개인별로 강조하는 효익의 상대적 크기로서 각 제
품의 가치를 결정짓는다.
원가가산 가격결정 cost-plus pricing
제품의 생산원가에 일정율 또는 일정금액을 가산하여 기준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생산원가의 성격에 다라 총원가 방법과 증분원가 방법으로 구분된다.
원천효과 source effect
메시지가 동일할지라도 송신자의 특성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웨버의 법칙 Weber's law
차이식역에 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극차이는 초기자극치에 비례한다.
위풍재 prestige goods
소비자들이 제품가격을 품질의 지표로 해석하는 제품들로서 대체로 고급품이나 고가품 또는 신체적 위험을 많이 수반하거나 사회적 지위의 상징성을 내포하는 제품이다.
유에스피 USP
메시지에서 전달하려는 내용에 대한 구상으로서 제품의 속성, 효익, 가치를 근거로 하여 개발된다(unique selling point). 즉 소비자에 대한 설득의 초점으로서 예를 들면, 신사화의 경우 "상쾌한 발걸음과 품위의 조화"가 될 수 있다.
유의수준 significance level
의사결정자(정보이용자)가 받아들이는 1종과오의 최대 허용범위로서 통상 α로 표시한다.
유지적 마케팅 maintenance marketing
완전수요의 상태에서 마케팅 활동의 효율성과 마케팅 환경요인들의 변화추세에 대하여 끊임없이 점검하고 대처함으로써 완전수요의 상태를 유지하는 마케팅 관리 과업이다.
유행주기 fashion cycle
유행이란 여러 집단의 사람들에 의해 인기 있게 수용되고 구매되는 스타일을 말하는데, 그것은 특이화 단계, 모방단계, 경제적 모방단계를 거치며 일반적인 제품수명주기의 쇠퇴기에 해당하는 단계가 없다.
의견선도자 opinion leader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이 특정한 주제에 관하여 전문성과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간주해 주는 사람으로 의견선도력의 가장 중요한 원천은 정보이다.
의미차별화 척도 semantic differential scale
양극적 형용어구들을 극값으로 하는 척도. 응답자로 하여금 대상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위치를 각 형용어구 상에 표시하도록 요구함으로써 기업이나 상표 이미지를 연구(프로파일 분석)하는 데 널리 이용된다.
의사결정단위 decision making unit
집단적인 구매결정에 있어서 제안자, 정보수집자, 영향자, 결정자, 구매자, 사용자, 평가자의 역할을 분담하는 구성원들.
이미지 image
제품 또는 서비스, 기업, 점포에 관하여 고객들이 갖고 있는 정신적 그림으로서 고객이 지각대상과 함께 연상하는 감정적 및 미학적 느낌을 모두 포함한다.
이미지 프로파일 image profile
한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다수의 이미지 차원 상에서 평가하여 도식한 것으로서 의미차별화 척도가 널리 사용된다. 다차원척도화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작성한 지각지도도 이미지 프로파일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점 모델 ideal point model
소비자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속성 상에서 그들의 이상적 수준을 확인하고 동일한 속성들 상에서 상표대안들을 평가시킴으로써 여러 가지속성에 걸쳐 각 상표가 소비자의 이상적 제품과 상이한 정도를 평가하여 태도에 대한 역지수로 활용하는 다속성 태도모델.
이성적 동기 rational motive
좋은 품질, 저렴한 가격, 제품수명, 성능, 조작의 편리함 등 주로 기능적 만족에 관련되는 행동이유
이월효과 carryover effect
광고가 실시된 후에도 소비자들에게 계속하여 영향을 미치는 현상.
2차조건화 secondary conditioning
고전적 조건화에 의해 학습된 조건자극-반응의 연관에 대하여 새로운 자극을
연상시켜 다시 동일한 반응을 학습시키는 일.
인과적 조사 causal research
마케팅 실험자료에 대한 분산분석을 통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효과의 원인이되는 변수를 확인하거나 두 개 이상 변수간의 인과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조사.
인적 판매 personal selling
판매원이 잠재고객을 직접 대면하여 수행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 아이디어의 제시로서 전화판매뿐 아니라 모든 유형의 판매원 활동을 지칭하며 산업고객, 중간상인, 최종소비자에 대한 판매를 모두 포함한다.
인지세트 awareness set
제품범주 내에 존재하는 많은 상표들 중에서 소비자가 구체적인 의사결정에 당면할 때 알고 있는 상표들. 특정한 욕구와 관련하여 소비자가 이미 학습한 일반화된 지식(스키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상표들. 인지세트는 다시 환기세트, 불활성 세트, 부적 세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인지식역 awareness thresholds
소비자는 너무 작거나(약하거나) 지나치게 큰(강한) 자극을 감지할 수 없는
데, 생리적으로 소비자가 감지할수 있는 자극의 범위. 인지식역은 절대식역과
최종식역으로 규정된다.
인지적 학습 cognitive learning
조건화 학습이 자극과 반응의 반복을 통한 행동의 변화를 강조하는 것과 달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목표를 정의하고 여러 가지 자극을 지각하여 처리하는 인지과정으로 학습을 파악하는 관점. 인지적 학습에는 기계적인 반복학습, 대리/모방학습, 추론학습 등이 있다.
임계통계량 critical statistics
특정한 유의수준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극단적인 표본통계량으로서 "표의 통계량"이라고도 한다. ⇔ 검증통계량
COMMENTS